충남 내륙 관광 확충과 해양환경 보호 위해 도 차원의 책임 강화 요구
충남도의회 편삼범 의원(보령2·국민의힘)은 25일 제362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성주산 복합레저관광단지 개발’과 ‘섬 지역 해양쓰레기 문제’에 대한 근본적 대책 마련을 요청했다.
편 의원은 충남이 2030년까지 방문객 1억 명 유치를 목표로 내세웠으나, 현재 관광 수요가 여름철 해양에 쏠려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사계절 체류형 관광을 위한 내륙 관광 거점 확충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보령의 경우 생활인구 대비 체류인구가 80% 이상으로 매우 높아 관광객들이 더 오래 머무르고 소비가 확대될 수 있는 전천후 관광자원이 요구된다면서, 성주산 관광벨트 구축과 산림레포츠, 자연휴양림·심원동계곡·수목원 연계 사업이 포함된 제7차 충남권 관광개발계획 내에서 성주산 개발을 도의 전략사업으로 재검토하고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성주산의 자연·문화·휴양 자원을 대천해수욕장, 머드축제 및 섬 비엔날레와 연결해 충남을 대표하는 체류형 관광 거점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편 의원은 보령호 배수갑문을 통해 유입되는 생활쓰레기와 영농폐기물로 인해 해양오염이 심화하고 섬 지역 어업과 관광산업에 막대한 피해가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문제는 단순한 환경 정비 차원이 아닌 연안 어장과 관광 지속가능성을 훼손하는 심각한 구조적 사안임을 밝혔다.
충남도가 시행한 해양쓰레기 분포 조사 결과 보령호 배수갑문 인근 오천항이 오염등급 8등급으로 평가됐으며, 육상에서 발생하는 쓰레기에 대해 책임 분담 체계가 부재해 결국 피해가 섬 주민들에게 돌아가고 있다는 점도 비판했다.
또한 보령호의 쓰레기 유입과 수질오염은 호수 내부만의 문제가 아니라 바다까지 연결되는 광역 환경 문제라면서, 상류부터 보령호, 하구, 해양 전 구간을 아우르는 통합 환경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섬 지역 해양쓰레기 해결은 바다 건강성, 어업과 관광산업의 지속에 직결된 중요한 현안이라며 지자체, 한국농어촌공사, 어업인, 환경단체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협력 거버넌스와 책임 및 비용 분담 체계 마련을 촉구했다.
편삼범 의원은 “충남이 성주산 개발과 섬 쓰레기 문제에 대한 확실한 해결책을 통해 지역 관광과 해양환경을 동시에 살려야 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