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를 비롯한 전국 9개 국립대가 연합대학을 추진할 모양이다. 거점국립대총장협의회 등은 대학별 네트워크 구축에 다들 공감하고 있는 상태로 대학 통합은 앞서나간 주장이라고 부인하고 있다. 협의회 입장과는 달리 전북대와 제주대가 지난 4월 9개 대학 네트워크를 제시한 이후 경북대가 한국대 명칭 통일, 신입생 공동선발, 대학별 태스크포스 구성을 이야기해 연합대학 추진이 가시화되는 양상이다. 네트워크든, 통합이든 국립대 연합 방안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물론 당장의 국립대 통합은 실현 가능성이 그리 높아 보이지 않는다. 지금까지 국립대 통합 논의는 지역별로 숱하게 진행돼 왔으나 제대로 성공한 사례는 극히 드물기 때문이다. 전남대를 중심으로 한 광주 전남 5개 대학은 연합대학, 통합대학의 단계적 방안을 추진했지만 흐지부지된 상태다. 경북대 등 대구 경북 5개 국립대, 전북대 등 3개 대학, 충남대·충북대 통합 등이 논의됐지만 구체화된 건 없다. 그런 상황에서 지역 기반이 전혀 다른 9개 국립대 통합이 이뤄질지 미지수다.

국립대 통합이 이뤄지려면 유사, 중복 학과의 구조조정과 교육의 질적 개선 등 두 가지 전제조건이 충족돼야 한다. 가장 까다로운 것이 교수, 직원 등 대학 구성원의 구조조정 문제다. 대부분의 지역별 국립대 통합이 무산된 것은 바로 이런 내부 반발이 주요인이었다. 통합을 통해 얼마만큼 교육 수준을 높일 수 있느냐는 것은 또 다른 과제다. 대학별로 강점이 있는 분야를 키워 특화시키는 한편 갈수록 기반을 잃어가는 기초 학문 분야를 어떻게 지키느냐는 것도 쉽지 않다.

어렵긴 하지만 국립대 통합은 선택이 아니라 가야 할 길이다. 수험생 감소세는 심각하다. 당장 내년부터 고교 졸업자 수가 대입 정원을 밑돈다. 2015년 53만 명이었던 대학 진학자 수는 2023년이면 24만 명으로 급감한다. 이미 9개 대학이 폐쇄 조치됐고 앞으로 문을 닫는 대학이 줄을 이을 전망이다. 수험생들의 수도권 쏠림 현상까지 감안하면 이대로는 지역 국립대조차 숨쉬기 힘들다. 이왕 시작하려면 경쟁력을 끌어올릴 통합의 큰 그림 속에 단계적 추진 방안을 담아야 할 듯하다.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