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한 취재본부장

▲ 사진/김정한취재본부장
현대모비스가 2,500억원을 투입해 서산시 부석면 바이오웰빙특구내 110만㎡의 부지에 14개 주행시험로, 내구시험로, 연구동을 조성하는 공사현장에서 중장비(덤프트럭) 사고가 빈번하다고 지난18일 본지가 1면에 보도한 바있다.

이런 소식을 전해들은 시민들은 현대그룹이 해도 해도 너무 한다며 한숨을 내 쉬고 있다. 사람이 살자고 하는 일인데 현대그룹만 살고 서산 중장비 업체는 죽으란 것과 같다는 한 맺힌 숨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외치는 창조경제란 국민과 정부. 그리고 기업이 함께 하는 문화를 조성함이라고 생각한다.

이는 바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호 협력하여 국가발전에 기여해 동반성장을 이루자는 뜻으로 보인다.그런데 현대그룹이 서산시 부석면에 추진중인 바이오웰빙특구 공사현장을 보면 자기들만 살고 지역 중장비 업체는 죽으란 것과 별로 다르지 않아 보이기에 하는 말이다.

2억원이 넘는 중장비가 뒤 집혀 살아갈 길이 막막하다고 땅을 치며 통곡하는 중장비 운전자의 올멘소리를 산 넘어 뻐꾸기 울음소리 정도로 듣고 있다면 사회적 기업으로 부족해 보인다. 고가의 장비라 뒤집히는 사고가 나면 수리비가 무려 7천만원 정도 나온다고 한다.

바이오웰빙특구 공사현장에서 차가 뒤집힌 사고가 이번이 처음 아니라는 것이 문제다. 무려 6차례나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쉽게 말해서 6명은 숨쉬기조차 어려운 지경에 놓였다는 뜻으로 이해해도 무관해 보이는 대목이다.

시공사인 현대그룹 계열사들이 자체 안전규정을 만들어 사고를 방지하고 있지만 임시도로와 현장 안전관리는 매우 미약하다는 지적도 이런 사고 때문인 것으로 보여 진다.

공사를 하기위해 개설한 임시도로에서 흙다짐이 잘못되어 사고가 났거나 유도자와 운전기사 사이에 신호가 맞지 않아 사고가 났다고 해도 현장 내라면 1차 책임은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시공사책임이 커 보인다.

시공사인 갑사가 책임을 피하려면 성토현장에 배치하는 유도자는 토목에 관련된 상식이 어느 정도 있어야 한다고 본다.

그 이유는 흙에 성분을 파악해 중장비가 빠지는지 안 빠지는지 판단해 가면서 유도해야 하기 때문이다.물론 하도급을 주었으니 하도급업체 보고 책임지라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가 갑의 행포는 아닐까. 한번쯤 생각해 보았으면 좋을 것 같다. 현대가 서울강남 한전 부지를 10조 5500억에 낙찰 받은 것을 보고 국민들은 현대가 통 크게 국가를 위한 대승차원에서 한일이라고 칭찬이 자자하다.

현대그룹이 만약 현장에서 발생한 사고를 나 몰라라 한다면 국가만 위하고 영세한 중소기업인 들의 눈물을 닦아주지 못하는 그룹으로 국민들께 인식 될 수도 있다.

현대그룹 지금이라도 지역민과 상생하고 지역 기업체와 공동으로 발전하는 방안을 모색해 더 이상 바이오웰빙특구 현장에 장비를 투입만 되면 깡통 찬다는 소문이 없어 졌으면 좋겠다.

그리고 바이오웰빙특구 현장이 중장비의 무덤이라는 오명에서 하루 빨리 벗어나 서산의 미래를 지향 하는 기업으로 사랑 받길 간절히 바란다.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