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를사랑하는학부모임 대전대표 채재학

자녀를 둔 학부모로서 요즈음 세상 돌아가는 모습을 보면 도무지 엄두가 나지 않는다. 왜냐하면 내 새끼든 남의 새끼든 우리 자식들에 대한 교육을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켜야 올바른 교육이 이루어질지 이만저만 고민이 아니기 때문이다. 내가 왜? 내 자식한테도 제대로 신경을 못 쓰면서 이렇게 다른 아이들까지 고민해야 하는지? 어떤 때는 이런 단체에 소속되어 이런 고민을 왜? 내가 사서하는지 나도 내 스스로에게 의문이 들면서 답답하고 답도 없는 고민에 어이가 없어진다. 그러나 우리자녀들은 우리나라 미래이기에 인성교육을 등한시한 작금의 교육형태를 이대로 방치 할 수 없는 나로 서는 학교 교육은 인성교육이 선행돼야한다는 주장과 함께 교육당국이 무한 관심을 가져달라는 간곡하고 절박한 요청을 할 수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학교, 학원, 모임 등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에서는 물론 좋은 일도 많이 일어나지만 인간관계 사이에서는 마찰이 일어나기 일쑤이다. 그런데 이런 마찰이 단순한 말다툼으로 끝나지 않는 경우, 몸싸움이 발생하고 아직 판단력이 부족하고 참을성이 떨어져있는 청소년 또는 어린이에게서는 더 자주 발생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집단 따돌림 등으로 번져 학교폭력이나 자살로 이어지기도 한다. 몸싸움이 딱히 발생하지 않더라도 마음에 상처를 입는 경우도 허다하다. 그래서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청소년들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는 과연 누구의 책임인가?

요즈음 들어 학교폭력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성폭력도 사회 이슈를 점하고 있다. 성폭력이나 집단 괴롭힘으로 자살하는 학생들의 뉴스가 자주 보이는 것은 그 실상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피부를 느낄 수 있다. 이는 모든 국민, 정부나 교육당국 그리고 지자체와 우리사회가 모두 발 벗고 나서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일단 학교나 성폭력에 관한 텔레비전 프로그램(드라마)이나 영상, 사진 등을 되도록 적게 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무엇이든지 자주 보면 익숙해져서 자연스레 따라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학교 폭력이 정확히 무엇인지 알게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학교폭력이 많이 일어나는 것은 알지만 단순히 때리거나 심한 욕을 내뱉는 것만이 학교폭력이라고 생각하는 학생들도 많다. 그러나 학교에서 매번 겪고 있지만 때리지 않기 때문에 참기 힘든 장난이라 선뜻 말을 못하고 있는 경우도 허다하다. 학교폭력을 행하고 있는 학생들도 장난 정도라고 생각하고 상처를 주는 말을 하는 것이 보통이다.

정부에서는 담임선생님이 관리할 수 있는 아이의 수가 한계가 있기에 한 학급의 학생 수를 줄일 수 있을 듯하다. 또 꼭 담임선생님이 아니더라도 아이들을 유심히 살펴보고 같이 상담할 수 있는 선생님이 있다면 학교폭력을 발견하여 예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아무리 이렇게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더라도 자기 자신이 스스로를 제어할 수 없게 된다면 문제는 영원히 해결되지 않을 것이다. 가해자는 물론이고 피해자도. 모두가 환경조성, 예방 및 대처를 알고 실천한다면 몇 년 사이에 학교폭력 바이러스는 자취를 감추게 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학교폭력은 사라지지 않는다. 얼마전 발생한 대구 고교생 자살사건의 배후 역시 학교폭력이었다. 목숨을 끊은 학생은 동료로부터 2∼3년간 육체적 정신적 괴롭힘을 당했음에도 학교나 가정의 관심밖에 놓여 있었다. 이러한 폭력의 배경을 파고 들어가면 부실한 인성교육에 직면한다. 마음의 바탕이나 사람의 됨됨이를 가르치는 인성교육은 모든 교육의 바탕이자 중심이다. 그래서 인성교육이 필요하다.

교육과학기술부가 인성교육을 강화하는 내용의 초·중·고 교육과정 시행에 들어갔다. 핵심은 각급 학교의 교육목표에 ‘바른 인성의 함양’과 ‘배려하는 마음’을 보강한 것이다. 학교폭력이 가장 심각한 중학교는 언어폭력 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교육내용을 통째로 넣은 것이 대표적이다. 중요한 것은 교육현장에서의 실천이다. 그동안 학교에서 ‘창의적 인간 양성’이니 ‘지·덕·체의 조화’를 강조했으나 입시 위주의 성과지상주의에 묻히고 말았다. 따라서 학교가 인성교육의 마지막 보루라는 인식 아래 획기적 대책을 마련하는 데 지혜를 모아야한다. 미디어 등 달라진 사회 환경을 반영하고 피부에 와 닿는 내용을 담아 실행력을 높여야 한다. 인성교육에 대한 사회적인 뒷받침도 필요하다. 인성교육은 긴 시간의 투자와 노력, 그리고 사회적 가치의 전환이 전제돼야 한다.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