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성화고 학생들의 현장실습 문제를 지적하고 전면적인 제도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인천 청소년노동인권네트워크를 비롯한 지역 청년·지도자·학부모단체들은 3일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도, 노동도 아닌 파견형 현장실습을 중단하고 제대로 된 직업교육 계획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최근 교육부가 각 시도교육청, 학교 등과 함께 점검해 지난 3월 발표한 ‘2016 전국 특성화고 현장실습 실태 점검 결과’를 보면 인천 지역 현장실습 부당 적발 사례는 50건이었다. 이는 서울·제주·경기에 이어 4번째로 많은 수치다.

현장실습이란 특성화고 학생들이 전문직업인으로 기업에 취업하기 이전에 기업 현장에 투입돼 해당분야의 전문적 업무수행 역량을 기르는 교육훈련과정이다. 특성화고는 일반고와 따로 분류해 직업 교육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으니, 으레 높은 ‘취업률’ 지수를 기대한다. 대놓고 특성화고의 목표 취업률을 제시하는 지역의 교육청도 있다. 문제는 학교가 취업률을 강조하며 학생들을 일찌감치 취업 전선에 내보내려는 노력과는 별개로, 실습현장 환경이나 학생들의 적응 여부에는 관심이 없다는 데 있다. 취업률에 발목이 잡히다 보니 업체와의 전공 적합성은 물론이고, 근로 환경의 건전성이나 학생들이 어떤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는지도 확인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학교에서 배운 전공을 살리기 위한 현장실습이 아니라, 실적을 위해 취지가 퇴색된 것이다. 더욱이 학생들은 현장실습에서 부당한 대우를 받더라도 호소할 곳이 없는 데다, 실습을 그만두고 학교로 돌아 간다 해도 냉대를 받기 일쑤라고 한다. 문제는 업체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학생들을 무리하게 현장실습으로 내몰고 있는 학교도 문제다. 학교마다 취업률을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있지만, 실적을 위해 학생들이 희생을 강요당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졸업생의 취업을 오직 취업률만으로 따지는 것은 근시안적 오류다. 학생이 원하는 직장에서 제대로 업무를 담당하는지, 근로 환경은 양호한지, 학교 직업교육이 도움이 되는지, 인권을 침해당하는 일은 없는지 등등 다각도로 따져봐야 한다. 교육청과 학교는 무리한 ‘취업률 높이기’ 경쟁을 멈추고, 현장실습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제대로 파악해 학생 안전과 권익 보호를 위한 개선책 마련에 나서주기 바란다.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