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연말부터 시작된 물가 상승이 결국 올들어 우리경제의 성장에 제동을 걸었다. 정부의 경제정책 순위를 바꿀 만큼 물가가 다급한 상황으로 다가왔다. 한국은행도 최근 물가 상승을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어 금리를 인상했다. 물가 상승에는 대외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했다. 그만큼 우리경제가 대외 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다. 일부 아랍권국가들의 자유화 물결이 거세지면서 리비아의 원유시설 파괴등이 우리경제에는 커다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앞서 수입의존도가 높은 밀가루와 설탕원자재 등의 상승도 국민들의 일상 생활과 밀접한 생활 물가 상승을 부추켰다. 여기에다 공공요금 인상 또한 한몫했다. 거침없이 치솟는 물가에 대통령도 일부는 어쩔 수없지 않느냐는 발언을 한바 있다. 이는 물가를 안정시키겠다는 얼마전 발언과 다른 것이다. 설을 전후해 전국을 강타한 구제역도 물가 상승의 주범이다. 많은 음식점들이 장사가 되지 않는 다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업친데 덮친격으로 일본열도를 강타한 8.8의 강력한 지진 발생이 우리경제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칠지 걱정이다. 일부 중요 품목의 주요 수입국이기 때문에 우리경제의 수출전선에 타격은 불가피 할 전망이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의 움직임이 분주한 상황이다. 정부는 국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구해야 한다. 말만 앞세운 정책이 아닌 진심어린 정책을 국민들에게 보여야 한다. 새로 탄생한 정권은 출범 3년전 국민들에게 매년 7%의 경제성장을 이뤄내겠다고 공언했었다. 연말이 다가오자 새로운 경제정책 준비와 워밍업 등으로 첫해는 당초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다음연도부터는 달성하겠다는 각오를 국민앞에 밝혔었다. 현재는 이에 대해 어떠한 변명 조차도 없다. 새로운 정권 출범초기부터 예산조기집행을 시행하면서 경제성장의 동력으로 삼으려 했다. 예산조기 집행 우수 지자체에게 시상까지 하면서 독려한 정책이었다. 중앙정부의 경우 예산조기 집행으로 효과를 나타낸 것도 일부 있다. 하지만 지방정부의 예산조기집행에 따른 경제 파급효과는 극히 미미 하거나 오히려 확보된 예산의 은행예치에 따라 발생되던 이자마저 사라지는 결과를 초래 한 경우도 발생되고 말았다. 예측과 결과의 오차가 상이 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이다. 일시적 노년층의 일자리 창출이나 특정계층에만 머무는 편향된 것이라는 지적이다. 장기적 수입안정화에 따른 소비자층을 형성하도록 하는 데 실패한 것이다. 일시적 처방책에 머물른 것이다. 경제순환에 대한 원리를 좀더 상식적인 사고에 기초했어야 했다는 의견이 많다. 작금의 물가 상승은 우리경제 성장을 앞지를 태세이다. 당초 현정권이 호언한 7% 경제 성장이 물가 상승에 무너지는 것은 아닌지 안타깝다.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