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변형 농산물, 축복인가? 재앙인가?>

▲ 국립종자원 충남지원 신동하 지원장
지금 우리 식탁은 유전자변형농산물이 소리 없이 점령해 가고 있지만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많지 않은 것 같다.

우리가 유전자 재조합 생물체, 흔히 유전자 변형 농산물이라고 부르는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는 무엇인가? 생명공학이 발달함에 따라 새로운 품종 육종방법으로 유전자 재조합이 시도되었고, 다국적 종자회사와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져 상업화의 길을 걷게 되었다. 처음에는 병충해 저항성이 강한 품종 등 재배적인 이점에 목적을 두었다. 그 후 영양가·맛 등 소비적 이점에 목적을 둔 제2세대 GMO에 이어, 최근에는 질병예방 등 의약적인 측면에 중점을 둔 제3세대 GMO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내외 전문가들은 이미 GMO가 세계적인 추세로 자리 잡았다고 말한다. 미국은 물론 중국, 인도 등 인구가 많은 개도국도 식량안보를 위해 정부차원에 추진하기 때문이다. GMO 재배 면적은 50%를 점유하는 미국을 필두로, 아르헨티나 17%, 브라질 13% 등 몇 개 국가가 전 세계 재배면적의 96%를 차지하고 있다. GMO 작물은 콩이 70%로 가장 많고, 옥수수는 30%, 유채는 20%에 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농산물 수입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이미 GMO 수입 대국이 되었다. 수입되는 GMO는 대두, 옥수수, 유채 등이 있는데 콩은 수입량의 80%, 옥수수는 70%이상이 GMO이며, 식용유는 거의 100%를 GMO 콩으로 만든다. 앞으로 GMO 수입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이렇게 GMO가 대세이나 반대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GMO를 반대하는 유럽과 미국·중국·인도 등 찬성하는 국가 간에 대립하고 있는 양상도 보이고 있다. 그렇다면 이런 양분된 시각 차이는 무엇인가? 영국을 비롯한 유럽인들은 광우병과 같이 잘못된 먹을거리의 위험을 이미 경험하였기 때문에 GMO는 시장 진열대에 오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시체 조각을 그러모아 만든 프랑켄슈타인처럼 여러 생물체의 유전자를 재조합했다는 뜻에서 “프랑켄푸드” 라는 역겨운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반면에 GMO를 최초로 상업화한 나라이면서 최대 수출국인 미국은 식량 패권주의 주도권을 장악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중국·인도는 10억이 넘는 인구의 먹거리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식량 안보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다. GMO는 생산성 향상을 통해 인류를 빈곤과 기아에서 해방시킬 수 있으며, 농업생산성이 높아져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GMO는 안전하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유럽은 유전자 조작은 예상치 못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고, 안정성이 검증되지 않아 위험하며, 생태계를 교란시켜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없게 만든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찬반 논쟁 속에서 우리는 어떤 입장과 시각을 견지해야 할까? GMO는 이미 우리의 식탁과 마트를 점령해버렸고, 그 공세는 더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완전한 배척은 어렵다는 현실을 인정하고, 장기적으로 후손들의 미래를 위하여 GMO에 대해 우려하는 문제가 현실화 되지 않도록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하는데 국가와 기업 그리고 소비자가 손을 잡고 지혜를 모아야 한다.

먼저 정부는 안전성이 확인된 품목에 대해서만 수입허가를 하고, 국민에게 수입 현황에 대해 투명하게 공개하며, 국내 유통 후에도 철저한 모니터링을 통해 문재 발생시 GMO상품에 대해 판매 금지조치 및 전량 회수해야 한다.

기업은 이윤 추구만을 위한 GMO 기술 이용은 자제하여야 한다. 소비자의 건강을 먼저 생각하는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는 뜻이다. 그리고 연구와 개발, 재배, 유통단계까지 예상치 못한 생태계 교란이 일어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소비자는 주인이라는 입장에서 정부와 기업이 올바른 판단을 내리도록 감시의 눈길을 소홀히 하여서는 안 된다.

생명공학은 인류의 복지 향상을 위하여 필요한 기술이며, 풍요로운 미래를 만들어줄 연금술일 수 있다. 그러나 10여년의 짧은 GMO 역사만으로는 절대적으로 안전하다고 할 수는 없다. 에이즈와 암에도 잠복기가 있듯이 GMO를 먹은 후 사람에게 미치는 부작용도 다음 세대에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같은 칼도 의사가 쓰면 사람을 살리지만, 살인자가 쓰면 사람을 죽인다. 이제 대세가 되어버린 GMO가 우리 세대의 건강을 해치지 않도록 하고, 후손들에게는 축복의 씨앗이 되도록 정부와 기업, 소비자가 책임과 의무, 감시를 강화해야 한다.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