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보육료와 양육수당 예산 부족으로 올해 가을께 ‘보육대란’이 우려되는 가운데 예산 분담을 둘러싸고 정부와 지자체가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 대전.충남.세종시를 비롯한 전국 지자체들이 무상보육 확대로 보육료 부담이 크게 늘면서 예산 미확보로 중단 위기에 놓였다. 이에 정부는 지자체가 지방비를 편성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지자체를 압박하고 있는 반면, 지자체는 무상보육을 확대한 것은 정부라며 지방비 부담비율을 낮춰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공개한 지자체의 올해 영유아보육료 및 양육수당 지방비 편성현황을 보면 전국 지자체가 매칭예산으로 편성해야할 올해 무상보육 예산은 보육료 2조5517억원, 양육수당 9043억원이지만, 실제 편성된 예산 비율은 보육료 81.1%(2조685억원), 양육수당 47.7%(4310억원)로 조사됐다.

특히나 심각한 재정난을 겪고 있는 충청권 지방자치단체의 입장으로서는 수백억원에 달하는 무상보육 재정분담금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재산세 등 지방세수 감소로 무상보육을 위한 추가예산을 마련하기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더욱이 충청권 지자체들의 부채비율이 높아 세출을 엄격하게 통제하고 있는 데다 간부공무원들의 업무추진비 역시 줄이는 등 고육책을 쓰고 있다.

무상보육을 마다할 국민이 어디 있겠는가. 하지만 문제는 재원확보이다. 가뜩이나 재정난을 겪고 있는 지방정부의 부담이 커지면서 지자체는 감당을 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지자체는 무상보육 국고 분담율을 50%에서 70%까지 높여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정부는 지자체의 이같은 요구를 전향적으로 받아 들여 재원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타당하다.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