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당한 스트레스나 긴장은 삶을 더욱 단단하게 해주는 요소가 되기도 하지만 과도한 스트레스와 긴장은 뇌 건강을 해치는 요인이 된다. 특히 노인 스트레스는 우울증과 치매를 유발할 수 있어 생활 속 뇌 건강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는 여러 상황에서 머릿속이 멈춘 듯한 느낌을 경험하곤 한다. 뇌가 멈추어 얼어붙은 현상은 주로 극도로 긴장할 때 생긴다. 자율신경 중 긴장 신경이라 불리는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 아드레날린이 분비되어 근육은 수축하고 심장은 박동 친다. 왜 그럴까? 위험한 상황에서 일단 움직여야 살아남을 수 있었던 수만 년 전 고대 조상의 경험들이 우리 뇌 깊숙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긴장되는 상황이 오면 근육은 뛰어나갈 준비로 수축하고 심장은 혈액을 뿜어내기 위해 힘차게 박동하고 호흡도 빨라진다. 이런 상태에서 뇌는 천천히 여유 있게 작동할 수 없다. 뇌의 전두엽은 과하게 작동하는 교감신경으로 원활하게 작동을 하지 못한다. 그러니 명쾌한 판단도 할 수 없고 심하면 뇌 작동이 멈춘 것처럼 머리가 하얘진다. 여유 있게 무엇을 이해하고 기억하고 학습하는 것과는 거리가 점점 멀어진다. 긴장해서 뇌가 자신의 능력을 다 발휘하지 못한다면, 해결책은 그 반대로 가면 된다. 이완 신경인 부교감신경을 활성화하면 뇌가 여유를 찾아 부드럽게 뇌 작동이 이루어진다.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근육이 이완되고, 심장 박동도 느리게 뛰고 호흡도 천천히 이루어진다.

◇ 여유있는 뇌를 위한 두 가지 방법
나이 들어 피부에 주름살 생기고 머리카락이 하얗게 세는 세월의 흐름을 어찌할 수 없듯이 나이 들어 뇌의 기능이 느려지는 것을 빠릿빠릿한 이십 대의 젊은 뇌로 바꿀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자신이 지금 가지고 있는 뇌를 최상의 상태에서 작동하도록 하는 방법은 뇌가 여유롭게 작동할 수 있는 상태를 만드는 것이다. 뇌의 여유를 위해 다음 두 가지를 해보는 것은 어떨까?

첫 번째는 ‘호흡’이다. 사람의 몸은 자신의 의지대로 움직일 수 있는 수의근과 자신의 의지대로 움직일 수 없는 불수의근으로 나눌 수 있다. 우리의 의지대로 심장을 빠르게 할 수도 없고 체온을 떨어뜨릴 수도 없다. 하지만 다행히 호흡은 다르다. 평소 의식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호흡 활동이 자동으로 일어나지만 스스로 호흡을 조절할 수도 있다. 게다가 호흡을 의식적으로 천천히 해도 근육은 이완되고 맥박은 천천히 뛰며 흥분해 올라갔던 혈압도 자연스레 떨어진다. 몸과 마음의 여유뿐만 아니라 호흡은 뇌의 여유를 찾기 위한 첫 단추가 될 수 있다.

두 번째는 ‘미소’이다. 미소를 띠면 사람은 몸과 마음이 이완된다. 이완되고 기분 좋은 상태에서는 자연스럽게 미소를 띠게 되지만 일부러 미소진 얼굴만 만들어도 몸과 마음이 이완되고 편안해진다.

◇ 노인 우울증과 가성 치매
우울증에 걸리면 얼굴에 표정이 없어지고 미소가 사라진다. 부모님이 예전과 달리 말씀도 적어지고 미소도 사라지면서 기억력도 현저히 떨어진 모습을 보면 자식들은 치매를 걱정해 부모님을 모시고 병원을 찾는다. 이 경우 인지기능 검사를 하면 점수가 치매 기준에 해당할 만큼 낮게 나오는데 그 점수로 치매를 판단하는 것은 아니다. 치매보다 우울로 인해 인지기능이 떨어지는 환자일 수 있다. 노인에게 우울은 ‘가성 치매’라 불린다. 치매처럼 보여 인지기능도 떨어져 보이고 실제로 검사를 해도 점수가 낮게 나온다. 왜 우울증 환자는 기억력이 떨어지고 인지기능검사가 안 좋게 나오는 것일까? 우울증은 뇌의 프로세스가 느려진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전두엽의 생각 프로세스가 느려지다 보니 저장되었던 기억을 끄집어내는 기억 인출 과정이 잘 안 되는 것이다.

또한 우울증은 집중력 저하가 온다. 삶에 대한 의욕도 없는데 치매 검사의 기본적 질문들에 의미를 못 느끼고 검사 중 집중도 하지 않는다. 우울증 환자의 경우 인지기능 설문을 물어보는 검사자에게 무표정으로 관심을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오히려 초기 치매 환자의 경우 무엇을 물어보면 그 문항은 아는데 지금 생각이 안 난다는 표정을 보이며 우울증 환자보다 상대적으로 적극적인 모습을 보인다. 치매처럼 인지기능 검사가 낮았던 우울증 환자는 우울증 치료 후 얼굴이 밝아지고 미소가 살아나면서 기억력도 좋아지고 인지기능 검사도 다시 좋아진다.

◇ 최적의 뇌 상태를 만드는 ‘휴씩’
우리의 뇌를 바꿀 수는 없지만, 뇌가 제대로 작동하도록 환경을 만들어 줄 수는 있다. 긴장 신경에 휩싸이지 않고 편안한 최적의 뇌 상태를 만들어 보자. 필자는 환자에게 ‘휴씩’을 하라고 한다. 휴식이 아니라 ‘휴씩’이다. 숨을 ‘휴~’ 내쉬면서 무겁게 힘 들어갔던 어깨는 편안히 내리고, 숨을 들이쉬면서 ‘씩~’ 한번 웃어보라고 권한다. 어깨는 내리고 입가는 올려 미소 지으면 우리의 뇌는 현재 상황을 편하게 받아들일 것이다.

어깨에 힘주고 긴장하면 머리가 하얘지지만, 얼굴에 미소짓고 이완하면 머리가 맑아진다. 천천히 호흡하면서 얼굴에 미소를 띠어보자. 미소가 치매 발생을 억제하거나 완전히 치료하는 특효약이 되지는 못하더라도 자신이 현재 가지고 있는 뇌를 최상의 상태로 작동하게 하는 부드러운 스위치는 될 수 있다.

글 : 이상현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발췌 :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소식 2021년 4월호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