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지진으로 인한 피해가 길수록 늘어나고 있다. 19일 오전 8시 현재 잠정피해액이 552억4천400만원에 달한다. 부상자 수는 중상 5명을 포함해 76명이며 이 가운데 17명이 포항시내 5개 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고 있다. 12개 대피소에 분산된 이재민도 1천318명으로 늘었다. 특히 학생들이 집단생활을 하는 학교 건물의 피해가 두드러져 특단의 내진 보강대책이 절실하다.
중앙재난대책본부에 따르면 19일 오전 현재 이번 지진으로 건물에 균열이 가는 등 피해가 발생한 학교는 무려 227곳이다. 포항 107곳을 포함한 경북이 142곳, 부산 44곳, 대구 26곳, 경남 12곳, 대전 2곳, 강원 1곳으로 집계됐다. 전체 227곳 중 초등학교가 110곳으로 가장 피해가 컸다. 진앙과 가까운 흥해초등은 건물기둥 철근이 파손됐고, 수능시험장인 포항고도 교실 벽이 갈라지고 창틀과 출입문이 떨어졌다. 일부 학교에서는 교실과 복도의 석면 천장재가 파손돼 석면 오염마저 우려된다.
이처럼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학교가 피해를 입은 것은 대부분의 학교 건물이 내진설계가 안 돼 지진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내진설계가 도입된 시기는 1988년이지만 학교 건물은 이전에 지어진 것이 많아 내진성능을 갖추지 못했다. 더구나 5층 이하 건물은 2005년이 돼서야 내진설계 대상에 포함됐다. 다시 말해 2000년대 초반까지 지어진 학교는 내진설계가 안 된 곳이 태반이라는 얘기다. 실제로 전국 학교시설 2만9천558동 가운데 내진설계나 보강이 완료된 곳은 6천829동으로 지난해 말 기준 내진율이 23.1%에 불과하다. 경북은 지난해 경주지진 이후 이 분야 투자를 대폭 늘려 24.1%로 끌어올렸으나 여전히 갈 길이 멀다. 대구도 내진율이 37%에 그치고 있다. 이는 전체 공공건물의 평균 내진율이 43.7%인 점과 비교해도 상당히 뒤떨어지는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한반도에 규모 7.0 이상의 강진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더 이상 우리나라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닌 만큼 내진 보강에 예산과 전문 인력을 집중 투입해야 한다. 무엇보다 학교는 단체생활을 하는 아이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곳이라 만에 하나 더 큰 지진이 일어난다면 피해가 엄청나다. 정부는 5조원의 예산을 들여 2035년까지 모든 학교의 내진 공사를 마친다는 방침이지만 지나치게 멀다는 생각이다. 자라나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안전을 생각한다면 내진 보강 완료 시한을 최대한 앞당겨야 한다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