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0월2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전망이다. 국정기획자문위원회 김진표 위원장은 6일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10월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을 관계 부처와 협의 중인데 지정하는 방향으로 가려고 한다”고 말했다. 인수위원회 격인 국정기획위 수장이 이런 입장을 밝힌 만큼 임시공휴일 지정은 기정사실화 되는 분위기다. 10월2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 9월30일 토요일부터 한글날인 10월9일까지 최장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만들어져 침체된 내수 경기 활성화에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연휴가 늘면 생산 활동이 위축되는 등 부작용도 없지 않다. 하지만 소비절벽에 내몰린 우리 경제의 현실을 감안하면 플러스 효과가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보고서에도 임시공휴일이 하루 늘어나면 19조원이 넘는 경제효과가 발생하고, 8만개에 가까운 일자리가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소비 증가에 따른 생산유발효과도 11조6천427억원에 이른다.



물론 이 같은 경제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 근로자·자영업자·일용직 등 황금연휴에서 사실상 소외된 사람들을 위한 대책 마련은 여전히 숙제다. 알다시피 임시공휴일은 법정공휴일과는 달라 민간부문까지 강제할 수는 없다. 이 때문에 인력이 부족하거나 납기일에 쫓기는 중소기업 근로자나 일용직 근로자에게는 연휴가 그림의 떡이나 다름없어 상대적 박탈감이 크다. 특히 중소기업은 전체 기업 수에서 99%, 고용에서 88%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이들의 휴가 여부에 따라 소비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대기업들이 상생 차원에서 납품기간을 연장하는 등 중소기업을 배려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나아가 정부는 임시공휴일 지정의 파급효과가 내수 진작이 아닌 해외소비 확대로만 이어지지 않도록 경계해야 한다. 열흘간의 휴가로 해외 여행객만 급증하고 정작 국내 관광지나 쇼핑시설은 별 재미를 못 보는 상황이 와서는 곤란하다. 실제로 지난 5월 황금연휴 때도 해외 카드 사용액은 전년보다 65% 늘어난 데 반해 같은 기간 국내 카드 사용액은 12.6% 느는 데 그쳤다.



사드 보복과 김영란법 시행 등으로 중국인 관광객이 줄고 소비도 위축된 상황에서 추석 열흘간의 연휴는 내수 활성화의 전기를 마련할 절호의 기회다. 정부는 임시공휴일 지정에만 그치지 말고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주요 관광지 무료 개방, 가족여행객 철도요금 할인 등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후속 방안도 강구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