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에 따른 인구 급감으로 국가의 미래가 걱정되는 시점에 포항의 대기업인 포스코가 출산을 장려하는 획기적인 제도를 마련해 주목을 받고 있다. 포스코는 기존 출산장려금을 대폭 증액하고, 완전자율 출퇴근제 등의 육아지원 근무제를 도입했다. 출산장려금은 종전 첫째아 50만원·둘째아 100만원·셋째아 300만원이던 것을 이달부터 첫째아 100만원·둘째아 이상은 500만원으로 크게 늘렸다. 또한 인공수정 등을 위해 연간 최대 5일까지 쓸 수 있는 난임 치료휴가 제도를 새로 도입했다. 육아지원 근무제는 완전자율 출퇴근제·전환형 시간선택제·직무 공유제의 세 가지 형태의 신축적인 근무제도로, 남녀 구분없이 아이가 8세가 될 때까지 직원 1명당 최대 2년까지 자유롭게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출산휴가는 출산전후 3개월간 주며, 2년간 육아휴직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출산이나 육아 때문에 사원 개인의 경력이 단절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 회사업무와 집안일이 조화롭게 균형을 이루도록 배려한 것이다.
포스코가 이처럼 기업으로서는 드물게 파격적이고 선도적인 출산 장려제도를 도입한 것은 크게 환영받을 만하다. 지금 대한민국은 인구의 고령화가 심화되고, 동시에 출산 기피 추세가 지속되면서 농촌지역 지자체는 급속한 인구 감소로 존립이 걱정되는 상황이다. 미국 중앙정보국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합계출산율(여성 한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자녀수)은 1.25명으로, 선진국 클럽인 OECD 35개 회원국 중 꼴찌였다. 조사대상 224개국 중에서도 220위로 바닥권이었는데 이스라엘 2.66명(73위, OECD 국가 1위)·북한 1.96명(125위)·미국 1.87명(142위)·중국 1.60명(182위)·일본 1.41명(210위) 등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이런 저출산 추세가 이어진다면 지금 한 해 40만명선인 신생아 수가 23년 뒤인 2040년에는 절반인 20만명 선으로 줄어들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오고 있다. 이같은 인구 절벽 시대에 국가나 지자체의 출산장려 시책만으로는 분명 한계가 있다. 때문에 기업이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다양한 제도를 마련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바람직한 일이다. 그러나 경영 부담이 큰 기업에 출산 장려책을 강요할 수는 없는 일이다. 근본적으로 국가나 지자체가 전향적으로 나서서 출산 및 육아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출산과 육아가 행복한 나라로 꼽히는 프랑스와 같은 선진국의 출산 장려정책을 벤치마킹하는 것도 필요하다.






































































































































































































































































































































로딩중입니다.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