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희 충남 서천 서면중학교장

점쟁이와 마술사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심리 트릭의 고수’라고 어느 책에서 읽었던 기억이 난다.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듣는 사람의 속성을 이용하는 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이다. 눈앞에서 미녀를 사라지게 하거나 관객의 호주머니에서 토끼를 꺼내는 신기한 마술은 대부분 관객의 주의를 엉뚱한 곳으로 돌려 만들어낸 ‘심리적 맹점’을 틈탄 것이라고 한다. 우리는 분명히 본 것이나 확실히 알고 있는 것을 대부분 진실이라고 믿는다.

사실 내가 두 눈 똑바로 뜨고 본 것을 믿지 못한다면 대체 어떤 것을 믿을 수 있단 말인가? 하지만 사람의 두뇌는 보고 싶어 하는 것만 보는 데 놀랄 정도로 능숙하다고 한다. 그래서 대들보도 보려하지 않으면 보지 못하고, 티끌도 보려들면 잘 보이는 것이다. 심지어 눈앞에서 벌어지는 일을 볼 때조차도 보고 싶은 것만 보는 경향이 있단다. 그런데 무언가를 집중해서 보고 있다는 것은, 그것 이외의 다른 것들을 못 보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이것을 과학적으로 증명하는 유명한 심리학 실험이 있다. 즉, 보고 싶은 것만 보려는 심리 때문에 눈앞에 지나 간 고릴라를 보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증명하는 실험이다.

1999년 실시된 크리스토퍼 채브리스와 다니엘 시몬스 교수의 ‘보이지 않는 고릴라’ 실험에서 연구진은 똑똑하다는 하버드 대학생들에게 한편의 동영상을 보여줬다. 동영상에는 검은 유니폼과 흰 유니폼을 입은 6명이 농구공을 패스하는 모습이 담겨 있었다. 참가자들에게는 흰 유니폼을 입은 선수들이 몇 번 패스 하는지 세어보라는 지시가 내려졌다. 경기 중반 불쑥 고릴라 옷을 입은 사람이 등장해 선수들 사이를 어슬렁거리다 가슴을 두드리고는 사라졌다.

영상이 끝난 후, 참가자들에게 고릴라를 봤냐는 질문을 던지자 대부분이 “웬 고릴라”냐는 반응을 보였다. 고릴라를 봤다는 참가자는 10%에도 못 미쳤다. 패스에만 집중하다 고릴라를 전혀 보지 못한 것이다. 또 하나의 비슷한 실험은 이미 고릴라에 대해 알고 있는 사람들을 일부 참가시켰다. 그리고 동영상 중간에 커튼 색깔을 바꾸고 선수 한 명이 코트를 떠나는 장면을 넣었다. 그런데 고릴라에 대해 알고 있던 사람들 가운데 커튼 색이 바뀌거나 선수 한 명이 떠난 것을 눈치 챈 사람은 17%에 불과했다. 이번에는 고릴라에만 집중하다 다른 것을 보지 못한 것이다.

프로 마술사들에 따르면 가장 속이기 쉬운 관객은 속임수를 찾아내겠다며 신경을 곤두세운 사람이라고 한다. 이런 관객일수록 마술사의 손에 정신을 팔기 마련이고 마술사는 그들의 주의를 딴 곳으로 돌리기가 한층 수월하다는 것이다.

우리는 보이는 것을 다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어느 것에 집중하느냐에 따라 정작 중요한 다른 것들을 보지 못하고 놓쳐 버리는 우를 범하게 되는 것이다. 교육에서도 이와 같은 현상이 있지 않을까. 학교경영을 하면서도 무엇이 본질인지를 모를 때가 있다.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닌데, 때로는 방향을 잃고 엉뚱한 방향으로 밀려갈 때도 있다. 이게 아닌 데 이게 아닌 데 하면서도 말이다. 그러나 어느 방향으로 어떻게 흘러간다 할지라도 중심을 잡고 흔들림 없이 본질을 향하려는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언제든지 우리의 관점과 시각을 속일 수 있는 상황을 경계해야만 한다. 학교에서 보는 아이들의 모습이 전부가 아니다.

개개인의 보이는 모습 그 너머를 읽을 수 있어야 아이들을 제대로 이해하고 교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어려운 점이 참 많다. 하지만 뒤떨어진 아이들을 배려해 주려 노력하는 수업, 조금 여유로운 모습으로 기다려 주고, 사랑과 관심으로 지켜보는 생활지도, 그러한 것들이 보이지 않은 모멘텀이 되어 보다 조화롭고 행복한 교육으로 거듭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자신의 대들보는 보지 못하고 남의 티끌을 파내는 일에 점점 익숙해져 가고 세상이다. 누구든 지혜롭게 산다는 것은 보기 싫어도 보아야 할 것을 보고, 듣기 싫어도 들어야 할 것을 듣는 것에서부터 출발되는 것이라 생각한다. 지도자의 역할을 하는 사람일수록 더 그래야 하는데, 오히려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아 옆구리가 찔린다. 잠시 숨을 멈추어 숨을 고르며 하늘을 본다. 시선을 다른 곳에 돌리면 그동안 보이지 않던 고릴라가 보이고, 들리지 않던 소리가 들려오지 않을까.

점쟁이와 마술사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심리 트릭의 고수’라고 어느 책에서 읽었던 기억이 난다.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듣는 사람의 속성을 이용하는 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이다. 눈앞에서 미녀를 사라지게 하거나 관객의 호주머니에서 토끼를 꺼내는 신기한 마술은 대부분 관객의 주의를 엉뚱한 곳으로 돌려 만들어낸 ‘심리적 맹점’을 틈탄 것이라고 한다. 우리는 분명히 본 것이나 확실히 알고 있는 것을 대부분 진실이라고 믿는다. 사실 내가 두 눈 똑바로 뜨고 본 것을 믿지 못한다면 대체 어떤 것을 믿을 수 있단 말인가?

하지만 사람의 두뇌는 보고 싶어 하는 것만 보는 데 놀랄 정도로 능숙하다고 한다. 그래서 대들보도 보려하지 않으면 보지 못하고, 티끌도 보려들면 잘 보이는 것이다. 심지어 눈앞에서 벌어지는 일을 볼 때조차도 보고 싶은 것만 보는 경향이 있단다. 그런데 무언가를 집중해서 보고 있다는 것은, 그것 이외의 다른 것들을 못 보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이것을 과학적으로 증명하는 유명한 심리학 실험이 있다. 즉, 보고 싶은 것만 보려는 심리 때문에 눈앞에 지나 간 고릴라를 보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증명하는 실험이다.

1999년 실시된 크리스토퍼 채브리스와 다니엘 시몬스 교수의 ‘보이지 않는 고릴라’ 실험에서 연구진은 똑똑하다는 하버드 대학생들에게 한편의 동영상을 보여줬다. 동영상에는 검은 유니폼과 흰 유니폼을 입은 6명이 농구공을 패스하는 모습이 담겨 있었다. 참가자들에게는 흰 유니폼을 입은 선수들이 몇 번 패스 하는지 세어보라는 지시가 내려졌다. 경기 중반 불쑥 고릴라 옷을 입은 사람이 등장해 선수들 사이를 어슬렁거리다 가슴을 두드리고는 사라졌다.

영상이 끝난 후, 참가자들에게 고릴라를 봤냐는 질문을 던지자 대부분이 “웬 고릴라”냐는 반응을 보였다. 고릴라를 봤다는 참가자는 10%에도 못 미쳤다. 패스에만 집중하다 고릴라를 전혀 보지 못한 것이다. 또 하나의 비슷한 실험은 이미 고릴라에 대해 알고 있는 사람들을 일부 참가시켰다. 그리고 동영상 중간에 커튼 색깔을 바꾸고 선수 한 명이 코트를 떠나는 장면을 넣었다. 그런데 고릴라에 대해 알고 있던 사람들 가운데 커튼 색이 바뀌거나 선수 한 명이 떠난 것을 눈치 챈 사람은 17%에 불과했다. 이번에는 고릴라에만 집중하다 다른 것을 보지 못한 것이다.

프로 마술사들에 따르면 가장 속이기 쉬운 관객은 속임수를 찾아내겠다며 신경을 곤두세운 사람이라고 한다. 이런 관객일수록 마술사의 손에 정신을 팔기 마련이고 마술사는 그들의 주의를 딴 곳으로 돌리기가 한층 수월하다는 것이다.
우리는 보이는 것을 다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어느 것에 집중하느냐에 따라 정작 중요한 다른 것들을 보지 못하고 놓쳐 버리는 우를 범하게 되는 것이다. 교육에서도 이와 같은 현상이 있지 않을까. 학교경영을 하면서도 무엇이 본질인지를 모를 때가 있다.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닌데, 때로는 방향을 잃고 엉뚱한 방향으로 밀려갈 때도 있다. 이게 아닌 데 이게 아닌 데 하면서도 말이다. 그러나 어느 방향으로 어떻게 흘러간다 할지라도 중심을 잡고 흔들림 없이 본질을 향하려는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언제든지 우리의 관점과 시각을 속일 수 있는 상황을 경계해야만 한다. 학교에서 보는 아이들의 모습이 전부가 아니다. 개개인의 보이는 모습 그 너머를 읽을 수 있어야 아이들을 제대로 이해하고 교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어려운 점이 참 많다. 하지만 뒤떨어진 아이들을 배려해 주려 노력하는 수업, 조금 여유로운 모습으로 기다려 주고, 사랑과 관심으로 지켜보는 생활지도, 그러한 것들이 보이지 않은 모멘텀이 되어 보다 조화롭고 행복한 교육으로 거듭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자신의 대들보는 보지 못하고 남의 티끌을 파내는 일에 점점 익숙해져 가고 세상이다. 누구든 지혜롭게 산다는 것은 보기 싫어도 보아야 할 것을 보고, 듣기 싫어도 들어야 할 것을 듣는 것에서부터 출발되는 것이라 생각한다.

지도자의 역할을 하는 사람일수록 더 그래야 하는데, 오히려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아 옆구리가 찔린다. 잠시 숨을 멈추어 숨을 고르며 하늘을 본다. 시선을 다른 곳에 돌리면 그동안 보이지 않던 고릴라가 보이고, 들리지 않던 소리가 들려오지 않을까.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