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혁신도시, 더는 미룰 수 없다
충남 혁신도시는 지금 ‘기다림의 도시’가 아닌 ‘외면받는 도시’로 전락하고 있다. 수도권 공공기관의 2차 지방 이전이 국정과제로 확정된 지 수년이 지났지만, 충남은 여전히 단 한 곳의 공공기관도 이전받지 못한 채 공허한 기대만 반복하고 있다. 도민들의 불만은 이제 분노로 바뀌었고, 지역 정치권은 정부를 향해 강력한 경고를 보내고 있다.
지난 2020년, 국가균형발전특별법 개정으로 대전·충남이 혁신도시로 지정되며 지방 이전의 법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그러나 이후 5년간 충남혁신도시는 ‘지구 지정’조차 지연되며 실질적인 진전 없이 표류하고 있다. 내포신도시를 중심으로 한 충남혁신도시는 교통망과 인프라, 행정 중심지로서의 잠재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무관심 속에 ‘빈 껍데기 혁신도시’라는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복기왕 의원은 최근 국정감사에서 “충남은 혁신도시로 지정된 이후에도 공공기관 이전이 지연돼 도민의 답답함이 크다”며 “정부는 더 이상 미룰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신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강하게 촉구했다. 복 의원은 특히 충남 서북권 광역도로망과 GTX-C 노선 조기 착수까지 함께 언급하며, 충남을 수도권과 연결하는 국가 전략축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지방의회도 움직였다. 충남도의회는 이상근 의원을 중심으로 ‘수도권 공공기관 지방 이전 확대 및 충남혁신도시 우선 이전 촉구 결의안’을 채택했다. 결의안은 최소 500개 이상의 출자·출연기관과 산하기관을 이전 대상으로 확대하고, 충남혁신도시에 우선 배치할 것을 명시했다. 이상근 의원은 “220만 도민의 박탈감이 극심하다”며 “정부의 소극적 정책으로 혁신도시 기능을 전혀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공공기관 이전은 단순한 행정 재배치가 아니다. 이는 지역경제를 견인하고, 청년 유입과 지방대학 활성화를 통해 국가 균형발전의 실질적 동력을 만드는 일이다. 1차 이전을 통해 전국 10개 혁신도시가 실질적인 성과를 거둔 반면, 충남은 세종시 건설로 인해 역차별을 받아온 지역이다. 이제는 그 불균형을 바로잡아야 할 때다.
정부는 더 이상 충남을 ‘후순위’로 미뤄서는 안 된다. 공공기관 이전은 지역의 이익을 넘어 국가 전체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필수 정책이다. 충남혁신도시가 진정한 혁신의 중심이 되기 위해서는 말뿐인 약속이 아닌, 실질적인 행동이 필요하다. 국회의원과 지방의회가 한목소리로 외치는 지금이야말로 결단의 시점이다.
도민들은 더 이상 기다릴 수 없다. 정부는 충남혁신도시를 통해 국가 균형발전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 충남이 다시 ‘기다림의 도시’가 아닌 ‘기회의 도시’로 거듭나기를, 이제는 진심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