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군, 가야사지 제8차 발굴조사 결과 공개!가야사 탑, 실제 남연군묘 조성과정에서 파괴된 것으로 드러나

[대전투데이 예산 = 박제화 기자] 예산군은 충남도 지원을 받아 추진 해온 충남도 지정,기념물 제 150호 예산 가야사지 발굴조사 성과를 2일 전격 공개했다.

본 발굴 조사는 지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6차 발굴조사를 진행한 재단법인 동방문화재연구원(원장 이호형)은 ‘매천야록’에 흥선 대원군이 가야사에 있던 탑을 철거하고 이 탑이 있던 자리에 아버지인 남연군의 묘를 이장했다는 기록을 토대로 기존 조사 지역에 이어 동쪽으로 확장해 남연군의 묘 주변까지를 대상으로 하여 8차 조사를 진행해 왔다.

군은 지역 중요 문화재에 대한 종합적인 학술연구를 기반으로 진행한 이번 발굴 조사에서는 고려시대 전기부터 조선시대 중기에 건립된 건물지, 담장지, 축대 등의 전체 모습이 조사돼 사역의 범위를 추정할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특히 남연군묘 묘역 내에서 확인된 고려 시대 전기에 축조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축대와 가구식(架構式) 기단(基壇) 건물지 1동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축대는 6·8차 조사지역에 해당하는 구릉지를 감싸고 있는 형태로 남쪽과 북쪽은 벽돌처럼 다듬은 석재를 쌓았고 동쪽은 바위 같은 큰 석재를 기단석으로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지는 기단석 반(半)쯤과 서쪽 계단이 일부 남아 있는데, 먼저 조선시대 온돌 건물지에 의해 훼손되고 헌종 2년(1846) 남연군(흥선대원군의 아버지, 고종의 할아버지)의 무덤을 이곳에 옮겨 조성하는 과정에서 대부분 파괴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발굴된 기단은 모서리 기둥(隅柱) 및 중간 기둥(撑柱) 자리까지 잘 다듬어 만든 가구식 건물지 기단으로 지금까지 충남지역에서 신라∼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알려진 보령 성주사지, 서산 보원사지, 논산 개태사지, 당진 안국사지 등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건물지의 기단들보다도 훨씬 격조(格調) 높은 기단이며, 이번에 조사된 가야사지 기단과 같이 모서리 기둥과 중간 기둥이 있고 잘 다듬어진 석재를 사용한 가구식 기단은 신라시대(9세기)에 유행한 기단양식으로 알려져 있다.

또 사역의 외곽을 감싸고 있는 축대의 북동쪽 경사면에는 석탑(石塔) 및 건물에 사용되었던 불상(佛像) 및 석탑(石塔) 조각과 잘 다듬은 판석(板石) 등 많은 석재들이 무질서하게 처박혀 있었으며, 이중 상면(上面) 일부를 조사한 결과 이는 남연군 무덤을 옮기기 위해 묘지를 조성하는 과정에서 당시 이곳에 석탑과 건물에 사용한 석재들을 집중적으로 폐기한 것으로 확인됐다.

따라서 이번 8차 조사에서는 석조불상(石造佛像), 옥개석, ‘가량갑사(加良岬寺)’명 암키와, 장식기와, 연화문·일휘문 수막새, 당초문·일휘문 암막새 등이 출토됐으며, 전형적인 신라시대 연화문 수막새 등을 포함해 고려 및 조선시대 유물들도 함께 출토되고 있어 가야사(伽倻寺, 加良岬寺)는 남북국시대 신라 때 창건돼 남연군묘가 조성되기 이전까지 불사가 계속 이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탑의 옥개석(屋蓋石) 조각 등이 출토되는 것은 ‘이곳에 세워졌던 탑을 부수고 남연군 무덤을 조성했다’고 전하는 ‘매천야록’의 기록을 실제로 입증하는 근거이며, 이와 함께 출토된 석조불상 조각은 크기로 보아 각종 기록에 ‘탑의 4면에 있는 석감(石龕)에 불상을 안치했다’고 전하는 기록에 따라 가야사 탑 석감(石龕)안에 모셨던 불상이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군은 향후 폐기된 석재가 집중된 지역을 발굴조사하면 당시 석탑과 건물에 사용된 부재들을 더 많이 확인할 수 있고 탑의 규모나 형태, 건물양식 등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군 관계자는 “남연군묘와 가야사지 유적과의 연관성이 확인된 만큼 예산 가야사지에 대한 지속적인 발굴조사를 추진하고 향후 역사유적 공원으로 조성해 지역 주민과 가야산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예산지역 역사 문화를 널리알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