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대전도시공사 사장 박남일

전 세가 인구는 현재 50억을 넘어서고 있다. 그러나 인구감소가 추세가 완연한 대한민국인 심각한 인구감소추세가 바닥을 모르고 있다.

50억 인구의 기념일을 지정한 취지가 무색해지고 있는 현실이다.

UN개발계획은 1989년 매해 7월 11일을 인구의 날로 정했다. 그리고 인구의 날마다 인구 관련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그러나 인구 증가를 기념하는 인구의 날은 저출산에 신음하는 대한민국에겐 남의 잔치다. 충청권도 예외는 아니다.

심각한 수준으로 인구가 크게 줄어들고 있어서다. 대전은 최근 인구 150만 명이 무너졌다. 2014년 7월 153만 6349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계속 하락해 지난 2월엔 결국 150만 명 아래로 떨어졌다.

대전의 인구 감소는 유출이 가장 큰 원인이다. 가장 대표적인 게 인근 세종시 출범으로 인한 인구 유출이다. 2012년 출범한 세종의 당시 인구는 10만여 명에 불과했지만 올 들어 30만 명에 육박하는 수준까지 늘었다.

상당수는 대전에서 유입됐다. 통계청에 따르면 세종시가 출범한 2012년부터 5년간 대전에서 세종으로 이주한 인구는 7만 명을 넘는다.

대전의 인구 유출에 대한 통계는 이게 다가 아니다.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에 따르면 대전의 대졸자 역내 취업률은 39.6%다. 대전 취업자 10명 중 6명은 타 지역으로 취업하고 있는 셈이다. 전국 평균인 47.9%를 훨씬하회, 지방 5대 광역시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당연히 저출산도 문젯거리다. 지난 1월부터 4월까지 대전의 출생아 수는 3000명이다. 저출산의 지표 중 하나인 조출생율(인구 1000명당 출생율)은 6.5%다. 출생아 수와 조출생율 모두 전국 광역시 중 가장 낮다. 여성이 가임 기간(15-49세)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자녀의 수인 합계출산율도 1.19명에 불과하다.

충남과 충북의 인구 감소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출생아 수는 대전보다 상대적으로 많지만 인구 유출과 고령화로 소멸위험지수(20~39세 여성 인구/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기준치보다 심각하게 낮기 때문이다. 소멸위험지수는 일본 마스다 히로야 도쿄대 교수의 이론에서 나온 단어로 기준치를 1로 설정하고 이보다 낮으면 미래에 해당 지역은 인구가 소멸할 것이라고 정의했다.

충남과 충북에서 소멸위험이 가장 높은 곳은 청양과 괴산으로 각 0.22였다. 서천(0.23), 보은(0.24), 부여(0.25), 단양(0.28), 예산과 금산, 태안, 영동(0.3), 옥천(0.32), 보령과 논산(0.41), 공주(0.44), 홍성(0.49) 순으로 나타났다.

충남은 15개 시·군 중 10개 지역이, 충북은 11개 시·군 중 5곳에서 소멸위험이 높았다. 사실상 군 단위지역은 물론 일부 시 단위지역까지 소멸을 걱정해야 된다는 얘기다. 이를 토대로 봤을 때 충남은 이르면 2025년, 늦어도 2030년 이후부터 소멸위험단계가 시작되고 충북도 이와 비슷한 시기에 관련 문제가 더욱 심화된다.

저 출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정책은 물론하고 전 국민이 모두 힘을 모을때다.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