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선거관리위원회 행정과장 배명열

지난 3월에 유엔 산하 자문기구인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는 전세계 156개국을 대상으로 국민행복도를 조사해서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10점만점에 5.875점으로 57위에 올랐다. 지난해보다 2계단 떨어졌다.

1위는 핀란드(7.632), 그 다음으로 노르웨이, 덴마크 등 북유럽 국가가 상위권을 휩쓸었다. 행복지수는 국내총생산, 사회적 지원, 선택의 자유, 부패에 대한 인식, 사회의 너그러움 등을 기준으로 산출했다.

세계 11위의 경제 대국임에도 국민의 행복지수는 한참 뒤처지고 있다. 국민의 소득수준이 높아졌음에도 행복지수가 낮은 이유는 무엇일까?

얼마전 북유럽 어느 나라 선출직 의원의 의정활동에 대한 방송을 본 기억이 있는데 북유럽국가의 왜 행복지수가 높은지 공감했었다. 단지 검정색 고급 승용차 대신 자전거를 타거나 보좌진 없이 작은 방에서 홀로 의정활동 한다고 느낀 감정 때문만은 아니다.

일부분이지만 정파의 이익이나 지역이기주의가 아닌 주민을 향한 진실한 봉사의 마음, 창의적 교육을 위한 정책고민 등 생각의 출발점이 우리가 보아온 것들과 달라 행복지수가 높지 않을 수 없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럼 지방선거를 통해 본 우리 동네의 행복지수는 어느 정도나 될까?
정리된 기준이나 통계는 없지만 주택, 일자리, 건강, 편의시설 등 지역마다 처해있는 환경과 추구하는 가치에 따라 달라 질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우리 동네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가 단체장을 비롯한 지방의원들의 직무수행에 대한 주민의 만족도라고 생각한다.

95년부터 실시된 동시지방선거를 계기로 우리 지역뿐만 아니라 주민의 삶도 크게 개선되었다. 유권자의 올바른 선택의 결과이기도 하다. 그러나 아직도 일부 지역 대표들의 선심정책, 막말·이권개입 등 구태적인 행태는 지역주민의 행복지수를 크게 떨어트리고 있다.

이제 20여일 후면 우리 지역대표들이 지난 4년 동안 행복지수를 얼마나 높였는지, 어떠한 노력을 했는지 평가하고 판단을 해야 한다.

대형 정치이슈와 정치권에 대한 국민의 실망으로 지방선거에 대한 유권자의 관심이 매우 낮은 상태이지만 그렇다고 잘못된 선택으로 이어진다면 그 피해는 유권자인 주민에게 돌아온다.

민주선거 70년! 이번선거를 계기로 기권 아닌 참여로, 연고가 아닌 자질로, 흑색선전 아닌 정책으로 동네민주주의를 제대로 실현해 볼 때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4년 우리 동네 행복지수를 높여 줄 후보는 누굴까?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