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병배 기자

신입생 모집을 앞둔 대학가에 부각되고 있는 큰 이슈중 하나는 기숙사난을 빼놓을수가 없다. 해마다 기숙사방이 크게 부족해 이를 둘러싼 경제적부담이 가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같은 고질적인 현상이 매년 약방의 감초인양 되풀이 되고 있는 가운데 그 해법을 찾지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것은 다름아닌 대학생 주거난을 해소할 기숙사 건립이 인근 임대업자들의 반대와 행정절차에 발목이 잡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이다. 아이러니한 대목이 아닐 수 없다.

기숙사를 건립할 부지와 공사비를 마련했다해도 인근 주민들의 저항이 만만치 않아 선뜻 나서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주민들은 문진, 소음, 안전, 교통불편 등을 포함한 일조권, 치안 문제, 부동산하락등을 반대이유로 들고 있다. 특히 자녀들의 대학생들에 의한 성폭력까지 우려하고 있다는 얘기도 들린다.

하지만 가장 큰 이유는 원룸 공실과 방값에 따른 이해타산 때문이라는 것이 관계자들의 항변이다. 대학가는 이런저런 이유로 매년 신학기를 앞두고 기숙사난이 되풀이 되고 있다.

대학 기숙사 입사는 하늘의 별 따기처럼 어렵고 대학가 인근 전월세 값은 부담이 만만치 않다 지방도 예외는 아니다. 사립대 상당수가 지역 원룸 소유자와 인근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고질적인 기숙난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사정이 이러하다보니 주민들 눈치에 기숙사 착공이 말처럼 쉽지않다는 것이다. 그로인한 부작용은 모두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몫이다.

가정형편을 고려해 되도록 저렴한 자취방을 구해야 하지만 새학기 방 구하기가 어렵다는 점을 들어 일부 건물주인들은 방값을 올리고 있다. 또 대학마다 기숙사의 한정된 인원 수용으로 신입생위주로 기숙사를 운영해 재학생은 외지 학생이라 할지라도 학점이 상위권에 들지 못할 경우 기숙사 입사는 엄두도 내지 못한다.

그렇다면 효율적인 대안은 없을까.

가장 바람직한 대안은 대학들이 이 눈치 저 눈치 보지않고 자발적으로 기숙형대학 건물 신축에 팔을 걷고 나서는 일이다. 그러나 현실은 앞서 언급했듯 인근 주민들의 반발이 만만치 않다는 사실이다.

대학 자체의 한계를 엿볼수 있는 대목이다. 달리말해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는 대학생들의 복지를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이유이다.

정부가 나서 돈 걱정 없이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공공기숙사 건립을 확대하는것도 그중의 하나이다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