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의 공적(국민·사학·군인·공무원) 연금 수급권자 신용 대출 규모가 늘어나면서 노후 안전판을 위협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연체하면 연금 계좌에서 원리금 상환이 이뤄지는 구조인 만큼 자칫 노후 생활이 부실해지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2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신한·우리·KEB하나은행·NH농협은행 등 연금 관련 신용 대출 상품을 취급하는 주요 은행중 실적 공개를 꺼린 KEB하나은행을 제외한 나머지 4개 은행의 관련 상품 대출액(잔액 기준)은 지난 9월 말 현재 1327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추세라면 연내 지난해 대출 규모인 1332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연금 관련 신용대출 상품은 2013년 1307억원, 2014년 1320억원, 2015년 1309억원을 기록하는 등 꾸준히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다.
특히 NH농협은행 실적이 독보적이다. 농협은행은 공무원과 군인연금 수령자(유족 포함)에게 판매하는 ‘연금수급권자 생활안정자금대출’을 취급하고 있다. 지난 9월 말 현재 대출 규모는 995억원. 이미 지난해 전체실적(987억원)을 추월했다.
연금 관련 대출 상품은 4대 공적연금 수령자의 연금 수급권으로 신용 등급을 산정해 대출을 일으킨다. 은행 연금계좌를 튼 연금수급권자를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객 확보 전략도 깔려 있다. 금리도 일반 신용대출 평균금리보다 높아 은행으로선 짭짤하다. 설령 연체가 발생해도 고객의 연금 계좌에서 원리금 상환이 이뤄지기 때문에 은행 입장에선 안정적이다.
문제는 연금을 대출로 미리 끌어달 쓸 경우 자칫 노후대책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연금 수급자 대부분이 은퇴를 전후한 연령대이기 때문에 부실이 잠복기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금융기관들의 고객확보 전략도 좋지만 과도한 충동이 자칫 고객의 노후를 불안하게 할 수도 있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될 것이다.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