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인재 채용 의무제는 여러 효과를 염두에 두고 준비된 매우 합리적인 산학 협력 방안 중 하나다. 서울 소재 대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업환경이 열악한 지방대학을 육성하여 양질의 인재를 배출시키는 데 이바지하도록 함으로써 기회균등과 함께 국가 균형발전정책의 확장성을 넓히자는 기본 목표를 세우고 있다.

사실 지역이나 지방대학에도 자질을 갖춘 능력 있는 인적자원은 차고 넘친다. 단지 학벌 위주의 편향된 고정관념으로 그들이 진출할 수 있는 무대가 지극히 제한적일 뿐이다. 그런 지역 인재들을 대학 힘만으로 일자리를 찾아주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정부가 혁신적이고도 일관된 태도로 도와주지 않으면 부와 사람의 중앙편재는 골이 더욱 깊어질 수밖에 없다.

공공기관들이 직원 신규채용 시 적정 비율만큼 현지 인재를 선발하도록 한 방침이 돋보이는 연유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도 국가기관이 잘 소화하지 않고 예사롭게 여겨버리면 하나마나한 것이다. 그래서 딱하다. 진주 혁신도시에 입주한 10개 공공기관 중 3개 기관이 올 상반기 신규채용에서 단 한 명 지역출신 직원도 뽑지 않았다는 통계치는 불신감을 증폭시키고도 남을만하다.

특히 상근 직원 수가 가장 많은 한국토지주택공사 또한 그 대열에 합류하고 있다는 사실이 놀라울 따름이다. 비단 진주혁신도시만이 아니다. 전국 상황 역시 비슷하기는 매한가지다. 지역인재 채용률이 10% 선을 겨우 유지하고 있다니 이래 가지고선 정책 목표치로 제시된 30%가 제때 제대로 달성될 수 있을지 의문시된다고 해도 과장된 것이라고 말할 수 없다.

대개 상반기에 신규 직원을 거의 뽑았을 것이라고 가정하면 올해 통틀어 진주혁신도시 공공기관이 진전된 수치를 내놓을 것이란 기대는 물 건너간 셈이 된다. 공공기관들에도 애로는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경력직이나 특수 전문직 내지 연구직은 지역출신 중에서 마땅한 인력을 구하기가 어렵다는 난점이 없을 수 없다. 이런 경향은 정부가 그 범위를 넓히는 등 개선안을 따로 만들어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관건은 공공기관 자신들의 의지다. 정책이 섰으면 그걸 충실히 집행하면 그만이다. 그러지를 않으니 앞으로 나아가지를 못하는 것이다.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