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가계가 짊어진 빚이 급증세를 이어가 1천400조원 수준까지 늘어났다니 걱정이 크다.
급증하는 가계부채는 이미 우리 경제가 감당할 수 있는 임계치를 넘어섰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한국의 작년 말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2.8%로 1년 전인 2015년 말 88.1%에 비해 4.7%포인트 상승했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43개국 중 8위였다.
급증한 가계부채의 원리금 상환 부담은 소비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자본시장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가계신용의 추가적인 증가는 경상 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이 65.9%를 넘어선 2011년 2분기부터 가계지출을 감소시키는 역기능을 하고 있다.
무엇보다 심각한 문제는 여러 가지 대책에도 가계부채 급증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금융당국은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가계부채 증가세에 대응해왔고 대출규제가 포함된 부동산 관련 대책도 연달아 발표해왔지만 가계부채의 급증세는 좀체 꺾이지 않고 있다.
이는 부동산 가격 급등과 전·월세 가격 상승, 저금리 장기화, 소득개선 부진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급기야 문재인 정부는 그동안 가계부채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면서 종합적인 가계부채 대책을 마련하도록 지시했다.
전문가들은 부채 급증세를 막는 방안과 함께 신용도가 낮은 대출자들의 소득을 늘려주는 방안, 가계의 소비 위축을 방지할 방안 등이 함께 추진돼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가계부채 문제의 연착륙을 위해서는 총량관리 목표설정 기간을 가급적 길게 잡아야 하며 가계의 소득 증가 방안이 병행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