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을 하는 고령자가 일하지 않는 고령자보다 더 건강하고 삶의 질이 높다는 통설이 연구 결과로도 입증됐다.
이에 따라 고령화 속도가 빠르고 조기·비자발 은퇴 비율이 높은 한국 상황에 맞는 고용정책을 수립해 은퇴자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고려대 경제학과 김범수 교수와 최은영 경제연구소 연구교수는 최근 '은퇴가 건강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논문에서 은퇴와 건강, 삶의 질 관계를 분석해 발표했다. 논문은 은퇴가 노동력 상실, 그로 인한 사회·경제적 자원의 감소로 당사자에게 신체·정신적 스트레스가 될 수 있으며, 삶의 만족도를 떨어뜨리는 주요 요인이라고 판단했다.

특히 조기퇴직, 은퇴 후 준비 부족, 사회복지제도 미비 등의 한국적 특수성 탓에 은퇴가 고령자의 건강·삶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전제했다.

논문은 고령화연구패널조사 1차(2006년)와 5차(2014년) 자료를 이용해 이러한 가정이 성립하는지를 분석했다.
고령화연구패널조사는 제주를 제외한 전국에 거주하는 45세 이상의 중고령자 1만명을 2년 단위로 조사하고 있다.

논문은 은퇴 후 사회활동 참여의 감소, 경제활동 및 사회적 네트워크가 줄어들어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다고 해석했다.

은퇴는 본인이 느끼는 건강의 정도를 의미하는 '주관적 건강상태'에도 악영향을 미쳐 19.3% 감소할 확률이 나
타났다.

은퇴 후 질병 상태는 5∼6%, 정신건강상태는 6∼9% 나빠질 확률이 있다는 기존 해외 연구보다 더 높은 수치다. 한국 노동시장에서 은퇴가 더 악영향이 크다고 논문은 판단했다.

따라서 한국의 고령자 고용환경 변화에 따른 고용 유연화 정책과 임금피크제에 대한 논의 등 안정적인 고용정책으로 은퇴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정책과 제도적 방안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