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예상대로 ‘조기 대선’ 선거일이 결국 5월 9일로 결정됐다. 헌법과 공직선거법에 따라 대통령 탄핵이 확정된 다음 날부터 60일 이내에 대통령 선거를 치러야 하고, 선거일은 50일 전까지 공고돼야 하는데 박근혜 전 대통령의 파면 4일이 지났는데도 정부는 대선 기일을 확정·발표하지 못했었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대권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관측만 무성했다. 그러나 황 권한대행은 15일 “고심 끝에 현재의 국가위기 대처와 안정적 국정관리를 미루거나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며 불출마 선언을 해 그동안의 논란을 종식시켰다.

그의 불출마 선언은 대통령 탄핵에 대한 책임론과 함께 ‘대통령 궐위’라는 비상시기에 대선이 치러지는 만큼 선거를 공정하고 안정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요구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황 권한대행의 지지율에 내심 의지하던 자유한국당은 당장 허탈감에 빠졌다. 그의 출마를 위해 오는 18일 예비경선이 끝난 뒤에도 후보 등록을 할 수 있는 특례 조항까지 만들었으나 불출마 선언을 함에 따라 해당 조항을 삭제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반대 진영의 최대 경쟁자가 사라짐에 따라 정권교체 가능성이 커졌다며 환영하는 분위기다. 보수층 재결집을 주창했지만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바른정당은 정운찬 전 국무총리의 영입에 실패하며 외연 확장의 위기에 빠졌다.

국민의당은 후보 선출과 관련해 안철수 전 대표와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가 날카로운 신경전을 벌이고 있어 진통만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대선일 확정과 황 권한대행의 불출마 선언으로 야권의 정권교체 가능성은 그 어느 때보다 유리하게 전개되고 있지만, 벌써부터 민주당 지도부와 주요 대선주자들을 향해 이미 집권한 것처럼 행동한다는 비판의 목소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여론조사는 어디까지나 참고 지표일 뿐 이번 선거에서는 특히 보수층이 아직까지 확실한 후보 결정을 하지 못함에 따라 얼마든지 선거의 향방이 바뀔 수 있다. 조기 대선이 치러지게 된 것은 어디까지나 국민들이 개혁과 변화를 원했기 때문이다. 어느 정당, 어느 후보든지 간에 대선이 끝날 때까지 경거망동을 삼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누가 대통령이 되든 균형감을 갖고 자신을 반대한 세력들도 포용할 줄 아는 자세로 국정운영을 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