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하구 해수유통 연구용역 사실왜곡 안된다

농업용수 등의 확보를 위해 건설된 금강 하구둑이 지역경제 쇠퇴를 초래해 지역민들에게 고통을 주고 있다면 해수유통이 되도록 해야 한다는 여론이다. 이를 건설한 국토해양부와 관련 기관은 지하수 염해와 담수확보에 지장을 받을 수 있다는 입장이다.

충남도와 서천군 지역주민들, 화경전문가들은 4대강 사업으로 금강의 수질이 더욱 악화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해수의 부분유통에 의한 수질 개선만이 절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렇지 않으면 영산호와 같이 농업용수로도 쓸 수 없는 지경에 도달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충남도와 서천군은 금강 하굿둑 건설 이후 하구와 연안의 수산자원에 의존하던 지역 경제가 쇠퇴하면서 발생한 지역민의 고통을 해소하기 위해 해수유통이 절대적이라는 입장이다. 국토해양부도 이를 수용해 해수유통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그런데 연구보고서는 조사?분석 내용과는 배치되는 이해하기 어려운 결론을 제시해 논란을 가열시키고 있다. 금강 하굿둑이 건설된 이후 금강 하구에서 기수역이 사라졌다. 하굿둑으로 바닷물과 강물이 차단되면서 참게, 황복, 뱀장어, 은어, 웅어 등 회유성 어종이 사라졌다.

국토해양부 용역 조사에서도 확인됐다. 하굿둑으로 막혀 영양염류가 강에서 바다로 유입되지 못해 식물플랑크톤 등 생산자가 감소하고 퇴적물의 유동도 변화해 하구와 연안의 지형이 변하면서 인근 어장과 김 양식장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쳐 수산자원에 의존하던 지역 경제가 쇠퇴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상황이 이런데도 연구보고서는 하굿둑 상류와 하류가 담수와 해수생태계로 양분되고 염습지가 사라지는 등 기수생태계가 훼손되었고 인위적인 둔치 조성으로 습지가 사라지고 외래식물이 번성하는 육상생태계화한 문제를 확인하고도 해결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기보다는 원래대로 회복될 것을 우려해 현 상태를 유지하고 해수유통을 유보해야 한다는 연구 내용과 배치되는 모순된 결론을 내리고 있다.

이런 비논리적인 결론은 단순히 농업용수의 공급량이 감소할지 모른다는 우려에만 급급한 탓으로 보인다. 최선은 자연그대로 복원하는 것이다. 차선으로 연구용역 사실에 입각해 해법을 찾는 것이다. 사실이 왜곡되지 않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