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가계부채 증가 위험하다

저소득층의 금융 부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가계부채의 질이 나빠지고 있다. 제2금융권 부채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문제다.

여기에 내년까지 전체 담보대출의 46%가 만기가 도래해 가계 부채 뇌관으로 부상했다. 돈을 빌린 용도를 보면 전체 가계부채의 절반 정도가 부동산 구입용이다.

다음으로 사업용 대출이다. 소득이 높을수록 부동산 구입용과 사업용 비중이 높다. 반면 소득이 낮을수록 생계형 부채비중이 높다. 주목 할 점은 가계 부담의 양극화다.

부채보유가구의 소득대비 원리금상환부담률(DSR)은 지난해 11.4%에서 12.9%로 상승해 가계 부담은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최상위 계층은 DSR은 9.2%에서 9.0%로 오히려 감소한 반면 이를 제외한 모든 소득계층에서 DSR이 1년 전보다 2~3%p 높아졌다.

가계부담 증가도 양극화가 심화됐다는 말이다. 소득의 증가가 대출 증가를 따라잡지 못하는 현상이 지속된 결과이다. 한국은행이 분석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를 보면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56.2%가 금융부채 위에 올라 있다. 1년 전 53.7%보다 늘어난 수치다.

원리금상환부담과 과다채무가구 비중이 높아진 것은 그동안 이자만 납입하던 주택담보대출의 원금상환 이 시작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라는 것이 한은의 분석이다. 가계 부담은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내년까지 전체 담보대출의 46%의 대출만기가 도래하거나 거치기간이 종료된다. 가계 부담 증가에 대한 경고가 나오는 이유이다. 저소득층 일수록 2금융권 이용이 많아 그만큼 이자부담이 많을 수 밖에 없다.

앞에서 언급 했듯이 저소득층 일수록 생계형 대출이 많다. 각종 물가 상승에 비해 소득증가는 낮아 금융이자 부담이 전체소득에서 차지 하는 비중이 높아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계획이 불투명하다.

이러한 생활이 반복되면서 자칫 악순환의 고리가 형성 될 가능성이 높아 저소득층의 부채 증가는 우리경제 회복에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위험스러운 요소로 작용 할 수 있다.

저소득층은 고용시장에도 불안정한 상태이다. 주거도 불안정하다. 저근 부분일 지라도 우리경제의 선순환을 위해 정부의 저소득층에 대한 장기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