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ㆍ중ㆍ고등학교에서 `게임 중독이 의심되는 학생이 최대 8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돼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어린이나 청소년들이 지나치게 게임에 몰두하여 게임중독에 걸림으로서 폭력적이거나 사행성오락에 빠지면서 정서적으로 불안정해지고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하는데 문제가 나타날까 우려되어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어린이나 청소년은 미래의 가장 큰 성장 동력이자 인적자원이다. 이들은 장차 대한민국을 짊어지고 나갈 미래의 주역이며 주춧돌이다. 그래서 이들이 게임에 중독되는 것은 제도적으로 막아야한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적절한 대책이 요구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이 지난주에 게임ㆍ인터넷 중독을 주제로 학생ㆍ학부모ㆍ교사, 전문가와 가진 간담회에서 한 참석자가 이런 추정치를 내놨다. 참석자들은 게임 중독이 학교폭력의 한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적절한 예방 및 치료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데 공감을 표시했다. 여성가족부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초 4, 중 1, 고1 학생 186만명을 전수조사한 결과 게임 중독 고위험군이 2만 3천명 정도라고 한다. 이를 각급 학교별로 3배씩 곱하면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 3까지 고위험군은 약 7만명이라고 추산했다. 안동현 한양대 의대 교수도 "1990년대 학생들이 본드ㆍ가스를 마시는 문제로 학교가 몸살을 앓았는데 요즘은 그게 게임으로 옮겨갔다"고 진단했다. 그는 "초중고생 약 800만명 중 10%는 어느 정도 중독의 위험성이 있고 다시 그 중 10%인 8만명 정도는 과몰입군으로 추정된다"며 "이들의 게임 중독은 질병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우려했다.

참석자들은 게임 중독에 걸리거나 의심되는 초중고생 치유대책으로 컴퓨터 사용시간 제한, 과몰입 학생 선별치료 등의 단기 조치와 함께 다양한 여가수단 조성, 스포츠ㆍ체험 활동 강화 등 다양한 처방을 내놓으며 장기적인 대책을 제시했다. `인터넷꿈희망터의 이형초 센터장은 "게임에 몰두하면 자기통제력이 떨어진다"고 지적했고, 인천청학공고 류현호 교사는 "심한 학생은 하루 20시간까지 게임에 몰두하며 밤을 새울 때도 많다"면서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다른 문화에 접할 수 있도록 여가 수단을 마련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 모임에 참석한 한 고1학생은 "게임업체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이용시간을 제한하고 PC방 업주는 학생 신분증 확인을 철저히 해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또 한 교사는 "학교 내 휴대전화 사용금지 법안을 만들어 이를 제지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 달라"고 건의했다.

하지만 무조건 게임을 `악으로 보는 시각은 옳지 않다는 지적도 나왔다. 성균관대 최훈석 교수는 "게임 문제를 중독에 따른 병리적 현상으로만 보면 해결이 어렵다고 진단하고 게임은 여가 문화로 이미 자리잡았다"며 "상황ㆍ연령별로 눈높이에 맞는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장복실 `좋은학교만들기 대표도 "스마트교육 시대에 무작정 게임을 나쁜 대상으로만 볼 수 없다. 어른들에게 아무리 담배의 폐해를 얘기해도 못 끊는 것처럼 아이들도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이 장관은 이날 한국게임산업협회를 방문해 관계자들과 게임산업의 진흥과 적절한 규제를 병행하는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누면서 "학교폭력을 해결하려면 게임 문제도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며 게임업체의 사회적 책임 강화, `셧다운제 시간ㆍ연령 확대, 예체능 활동 강화 등 다양한 방안을 강구해 종합대책에 반영하겠다고 처방을 내놓았다.

이처럼 어린이나 청소년들의 게임중독현상이 날로 심각한 것은 컴퓨터의 보급 확대로 인해 필수품이 되면서 가정에서의 지도력이 한계점에 다다랐다는 징표이다. 청소년들에게 게임중독에서 벗어나 건전한 여가선용을 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뒷 밭침과 교육당국의 지도가 절실하다. 또한 정서적 안정과 올바른 지적발달이 형성될 수 있도록 치유책을 서둘러 마련해야한다. 이들이 주로 하는 게임중에 절반이 폭력적이고 선정적이며 배타적인 것도 많다. 일부 몰지각한 상술에 의해 자라나는 청소년들이 사회의 일탈행위가 접목된 게임에 빠져 자칫 학생들이 폭력적이고 선정적인 마약과 같은 게임에 길들려지기 전에 치유해야한다. 인터넷강국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청소년들에게 유해하지 않도록 올바른 제도확립과 적절한 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