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아지 1마리 값이 1만원으로 덜어졌다고 한다. 우리가 즐겨먹는 돼지고기 1근 값이다. 삼겹살 1인분 가격과 비교되는 소값 폭락에 소를 사육하는 축산농가들이 치솟는 사료값에 소사육을 포기하며 송아지를 그냥 가져가라는 것이다. 키워봐야 사료값으로 적자폭이 커지기 때문이다. 700~800만원하던 어미소 한 마리가 300~400만원으로 떨어졌다. 여기에 사료값은 더욱더 오르고 소값은 오를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여기에 FTA통과로 소고기 수입물량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축산농가들이 소를 키우는 일을 포기하지 않도록 정부와 농협 그리고 축협이 소값폭락에 대한 대책마련에 나서야한다.

젖소 수컷을 일컫는 육우(고기소)의 송아지 값이 1만원까지 추락했다. 한우 송아지 값도 2년 전과 비교해 절반이나 폭락하는 등 소값이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는 보도이다. 최근 육우 송아지 값은 2만원 안팎에 형성되고 있으나 근래 들어 가장 쌀 때는 1만원까지 폭락했으며 거래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다. 송아지 한 마리 값이 삼겹살 1인분 값과 같아진 것이다. 이러다가 소사육이 중단될가 우려되고 소 사육이 중단되면 수입소 가격이 올라가 그 피해는 다시 축산농가와 국민들에게 돌아간다. 무엇보다도 적정 사육 두수를 유지하지 못하고 있다. 축산 전문가들은 적정 사육 두수를 265만마리로 보고 있는데, 2010년에는 292만마리로, 작년에는 300만마리로 급격하게 증가했다. 농림부의 사육 두수 조절정책이 실패했다는 지적도 그래서 나온다.

사료값 폭등에 허리 휘는 축산 농민, 대책이 절실하다. 정부와 축협 그리고 축산농가들이 함께 소값 폭락에 대한 대책과 자구책을 마련해야한다. 소사육 농가들의 일정부분 사료값을 지원하는 등 수급조절을 해야 한다. 축산농가들이 스스로 조절하도록 방치해서는 안된다. 전문가들은 소 값 폭락을 막으려면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고급육 생산 확대와 가격 인하 △쇠고기 유통의 투명성 확보 △정육점형태의 대형 식당 확산 △사육환경 관리 등을 통한 생산비 절감대책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정부와 축협 그리고 축산 농가들이 소값 폭락에 대한 대책을 함께 강구해서 이 문제를 슬기롭게 극복해야한다. 정부 차원의 특단의 대책이 절실히 요구된다.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