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환증명사진.jpg -사회부 김정환기자-

요즘 지방사립대들이 앞다퉈 수도권으로 캠퍼스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의 대학구조조정 본격화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수도권 등으로 이전을 추진 중인 대학들은 대학구조조정 대상이 되지 않기 위한 방안을 지방에서는 찾기 어렵다는 볼멘소리를 한다. 대학이 살아남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란 이유다. 이들 대학이 위치한 지역 주민들은 지역경기 침체를 비롯한 각종 어려움이 닥칠 것이라며 강한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 현재 금산의 중부대는 고양시, 홍성의 청운대는 인천시로 이전을 준비하고 있다. 중부대는 전체 52개학과 1만600여명 중 24개학과 3500명, 청운대는 전체 26개학과 5800여명 중 9개학과 2000여명이 옮겨간다는 계획이다. 이들 대학들이 옮겨갈 지역에서는 환영일색이다. 경기도는 중부대의 경우 고양시 캠퍼스 이전으로 지역에 연간 1500억원 이상 소득 창출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만큼 대학이 위치하는 지역의 경제를 비롯한 긍정적인 파급효과가 크다는 얘기다. 뒤집어 보면 금산지역은 연간 1500억원의 손실을 보게 된다는 말이다. 2012년 금산군 전체예산이 2927억원, 홍성군 3999억원인 점을 감안하면 수백억원에서 수천억원에 이르는 경제효과를 상실하는 것이다. 이들 지역엔 치명적일 수 밖에 없다. 지역 주민들이 대학이전에 반대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대학의 입장은 신입생 확보, 저렴한 용지 확보, 해당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 등이 수도권으로의 캠퍼스 이전을 고려하는 것에 이해되는 측면도 있다. 그러나 대학이 살아남기 위해서 도움을 받아온 지역사회를 버리면 안된다. 해당 지역 주민들과 대학들이 상생발전 할 수 있는 방안모색에 나서야 한다. 지방자치단체도 이들 대학의 어려움 해소에 머리를 맞대는 자세가 필요하다. 강건너 불구경하 듯 해서는 안된다. 이들 대학의 이전은 결국 해당 자치단체에도 타격이 될 수밖에 없다. 자치단체와 지역기업들도 동참해야 한다. 지역 대학 출신학생들의 고용 비율을 높여야 한다. 그들이 지역에 봉사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