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의 가축이동제한이 모두 해제됐다. 경계에서 주의로 한단계 내렸다. 정부는 온도가 올라가면서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아직도 그 상처와 피해는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경계를 늦추어서는 안된다. 특히 구제역이 완전히 방역된 것도 아니다. 날씨가 따듯해지면서 잠복해 있는지도 모른다. 또한 구제역으로 살처분된 돼지나 소등의 매몰지도 정밀하게 점검하여 토양이나 수질오염등 대책을 강구해야한다. 여름철 집중호우로 인한 2차피해를 막아야한다. 토양오염과 수질오염 그리고 이로 인한 2차피해를 막아야한다는 지적이 높다.

지난해 11월 29일 구제역이 처음 확인된 지 126일 만에 일단 구제역은 멈췄다. 그러나 구제역의 발생으로 가축 350여만마리를 땅에 묻었고 이로 인해 축산농가와 정부는 수조원이 넘는 큰 피해를 입었다. 축산농가의 피해는 물론 일반서민들에게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돼지고기 값이 구제역 발생이전보다 2배이상 뛰었고 서민들이 즐겨먹는 삼겹살이나 순대가격도 덩달아 올랐기 때문이다. 축산농가의 타들어 가는 심정을 헤아리고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도 조기에 실시해야한다. 또한 초기 방역에 실패한 원인 규명도 불명확한데서 화를 키웠다는 지적도 간과해서는 안된다. 누구의 책임을 묻기보다 앞으로 이런 일이 재발하면 어떻게 할 것인지 매뉴얼화 하고 발병 초기에 재빠르게 대응하여 피해를 최소화하자는 것이다.

우시장등 가축시장이 열리면서 늦게나마 가축출하와 함께 새 가축을 들여오는 일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동안 닫혀있던 우시장등 가축시장도 재개장을 맞이하며 활기를 되찾기 시작했다. 그러나 송아지 값이 올라가고 종자돼지는 가격이 2배이상 뛰었다며 피해 농가들은 불만이 이만 저만이 아니다. 정부는 오는 11일까지 구제역이 추가발생하지 않아 구제역 경보단계를 현행 ‘경계’에서 ‘주의’로 하향조정했다. 어느 정도 안심해도 될 시기라며 낙관적인 전망을 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구제역이 휩쓸고 간 상처치유와 사후대책은 아직 멀었다. 무엇보다도 매몰가축에 대한 보상금이 하루빨리 지급되어야 한다. 적어도 입식이 허용되는 시점 전에는 지급되어야 재기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 정부는 축산농가에 대한 방역과 매몰지 관리를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백신처방으로 구제역 발생을 억제해 놓은 상태로는 안심할 수 없다는 지적은 곰곰이 생각해볼 일이다.

날씨가 풀리자 매몰지 침출수에 의한 지하수오염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농장에 가축을 재 입식하려하자 지역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구제역 살처분의 끔찍한 참상과 축산분뇨로 인한 환경오염 때문이다. 심지어 지역주민들이 농장폐쇄를 요구하는 집단행동으로 발전하는 지역도 있다. 돼지 입식 마리수를 종전의 절반으로 줄이라는 요구를 하는 지역도 있다고 한다. 재 입식을 둘러싼 정부의 합리적인 조정과 슬기로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하지만 갈등을 조정해야 할 정부의 모습은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다. 여전히 조금도 변하지 않은 한심한 ‘속수무책’ 정부다.

저작권자 © 대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